장애 없는 문화 체험 공간 확대된다.
장애 없는 문화 체험 공간 확대된다.
문화유산이나 전시품 등 콘텐츠를 관람하는 장애인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무장애 요소가 도입된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목포해양유물전시관 상설전시실(전남 목포시)과 교육 교구재에 무장애 요소를 도입한 다중 감각 체험형 콘텐츠를 새롭게 선보인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립춘천박물관과 국립제주박물관, 국립항공박물관, 제주항공우주박물관 등 4곳에 인공지능(AI) 문화해설 로봇 ‘큐아이’를 확대 제공하고 서비스를 시작했다.
목포해양유물전시관, 후각 체험과 소리 등 활용한 다중 감각 전시·교육
국가유산청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목포해양유물전시관 상설전시실(전남 목포시)과 교육 교구재에 무장애 요소를 도입한 다중 감각 체험형 콘텐츠를 새롭게 선보인다.
먼저, 목포해양유물전시관 상설전시실 입구에는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안내판을 설치해 전시 관람 편의를 높였다. 또한, 십이동파도선, 완도선, 명량대첩로 해역, 신안선 등에서 출수된 유물의 실감 모형도 제작해 시각장애인들이 직접 모형을 만져보며 그 형태와 용도를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도록 했다.
‘신안선실’에는 무장애 무인 단말기(키오스크)를 설치해 음성과 점자, 수어로도 전시내용을 설명하도록 했고, 신안선 선체의 현재 모습과 추정 복원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점자콘텐츠도 마련했다.
‘아시아 해양교류실’에서는 후추, 계피, 정향 등 신안선 출수 당시 확인됐던 향신료의 종류들을 맡아보는 후각 체험도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오감을 활용해 만지고, 듣고, 맡아보며 체험할 수 있는 다중 감각 학습 교재와 체험 교구도 다양하게 제작해 내놨다.
교구재는 △상설전시실의 주요 내용을 담고 있는 다중감각 점자 학습 교재 ‘바닷속 보물 탐험’ 4권 △탐침봉을 이용해 소리와 진동으로 발굴과정을 체험하는 ‘수중발굴 체험 상자’ △철가루 속에 숨겨진 유물 모형을 자석으로 찾아내는 제토 교구 △수중발굴의 인양 과정을 게임으로 체험하는 ‘유물 인양 물 게임기’ △전통 한선의 돛, 닻, 키의 작동 원리를 체험하며 배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할 수 있는 ‘한선 구동 교구’까지 총 5종이다.
서울부터 제주도, 온라인에서도 인공지능 문화해설 로봇 ‘큐아이’ 활동합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정보원은 지난 12월 13일 국립춘천박물관과 국립제주박물관, 국립항공박물관, 제주항공우주박물관 등 4곳에 인공지능(AI) 문화해설 로봇 ‘큐아이’를 확대 제공하고 서비스를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선보인 ‘큐아이’는 지난 7년 동안 문화 현장에서 제공한 서비스 중 관람객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 문화해설 등 주요 서비스 기능을 선정해 고도화했다.
문화해설 서비스는 유익한 문화해설을 재미있게 전달하기 위해 게임, 퀴즈 등 관람객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기반으로 한국어,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다국어로 제공한다. 또한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 문화해설과 어린이 관람객을 위한 쉬운 문화해설 등 관람객 맞춤 서비스도 지원하고 있다.
특히 ‘큐아이’는 각 문화 현장과 관람객들의 편의를 위해 기관별 특화된 문화해설 서비스를 제공한다. △국립춘천박물관에서는 강원의 역사와 문화를 전담하는 문화해설사 로봇으로, △국립제주박물관에서는 제주의 문화와 생활을 전달하는 전담 문화해설사 로봇으로, △국립항공박물관에서는 장애인 맞춤형 교육을 보좌하는 도우미 해설사 로봇으로,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서는 항공의 역사와 천문우주관 전담 문화해설 로봇으로 활동한다.
아울러 문화소외계층의 관람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확대 제공한다. 국립제주박물관과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서는 ‘큐아이’의 다국어와 수어 해설을 보강했다. 국립항공박물관에서는 해설 지원에서 교육 지원으로 활동 영역을 넓혀가는 ‘큐아이’를 만나볼 수 있다.
누구나 차별 없이 문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원격 접속 문화해설 로봇’ 서비스를 본격 시작한다. ‘원격 접속 문화해설 로봇’은 문화 현장을 쉽게 방문하기 어려운 특수학급(발달장애, 시청각 장애) 학생들을 위한 맞춤형 교육 보조 로봇으로 활동한다.
출처 : K스피릿
원문기사 : https://www.ikoreanspirit.com/news/articleView.html?idxno=78479